PC and Mac
-
구글 캘린더 서비스를 악용한 스팸 증가. 설정 변경 필요.PC and Mac 2014. 8. 15. 08:20
구글 캘린더 서비스를 악용한 스팸이 증가하고 있어 구글 캘린더 서비스를 사용하는 안드로이드폰 사용자들은 설정 변경이 필수가 아닐까 한다. 1. 구글 계정에 접속한 후 웹에서 캘린더 접속 2. 우측 상단 톱니바퀴 모양 설정버튼 클릭 후 설정 선택 3. ‘내 캘린더에 초대장 자동 추가’를 ‘아니오’로 설정 - 구글 캘린더 통한 스팸 증가…설정 바꿔야 - 스마트폰 캘린더에 나도 모르는 성인파티 일정이? 구글계정 연동된 스마트폰 일정관리 앱 노린 스팸메시지 기승
-
AhnLab V3 Lite 3.0 광고 팝업 숨기기PC and Mac 2014. 8. 15. 08:17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로 AhnLab V3를 여전히 한국에서는 많이 사용하는 듯. 광고 팝업을 숨길 수 있는 옵션을 제공 할 거면 광고 이유와 설정을 설치시에 물어보는 게 좋지 않았을까 싶다. 옵션은 제공하면서 왜 사서 비난을 받는지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그리 크게 추천하는 안티바이러스 제품은 아니지만 로컬 악성코드 대응에 의미를 둔다면 나름 존재의 의미는 여전히 있다고 본다. [AhnLab V3 Lite 3.0 광고 팝업 제거 방법] 톱니바퀴 아이콘(환경 설정) -> 기타 설정-> 사용환경 -> 알림 설정 -> 광고 팝업 숨기기 (체크)
-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폰, 아이폰) 해외 여행시 데이터 로밍 차단 - 데이터로밍 끄기PC and Mac 2014. 8. 15. 08:04
해외여행시, 스마트폰만 켜둬도 많은 데이터 요금을 내야하는 상황이 오기에 반드시 데이터로밍 (Data roaming)을 꺼야한다. 데이터통신을 해외에서 이용하면 국내와 다른 데이터로밍 요금을 적용받기에 많은 요금이 청구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앱이나 앱 동기화 & 시스템 업데이트 등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사용한다. 아무것도 안 하고 스마트 폰을 키고 사진앱으로 사진만 찍어다고 해도 GPS 와 지도 데이터를 앱이 사용 할 경우 상당한 요금이 부과 될 수 있고 그냥 사용도 안 하고 가지고 있어도 여러가지 동기화 서비스들이 알아서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상태라면 역시 상당한 요금이 부과 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스마트폰 설정에 대해 최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 중요하..
-
ImageSAFER ? Fasoo DRM ?PC and Mac 2014. 8. 4. 16:08
■ 어느날 윈도우가 느려졌다? Ctrl + Shift + Esc 키를 눌러 Windows 작업관리자에 이런 게 있는지 확인한다. ImageSAFERSvc.exe ImageSAFERStart_X86.exe ImageSAFERStart_x64.exe 이런 프로세스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다면 Windows 에 MarkAny의 ImageSAFER 문서보안솔루션 프로그램 설치되어져 있는 것이다. fph.exe f_lps.exe fclient.exe 이런 프로세스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다면 Windows 에 Fasoo DRM 보안솔루션 프로그램 설치되어져 있는 것이다. ■ 언제 어디서 도대채 왜 설치되었을까? ImageSAFER 문서보안솔루션은 한국의 관공서 웹 서비스 (예: 금융감독원, 건강보험공단, 국세청) 사용시..
-
구글과 Adobe. 한중일 통합 오픈소스 글꼴이라니...PC and Mac 2014. 7. 17. 03:42
"Noto Sans CJK는 현대 한국어에 쓰이는 11,172 음절 뿐 아니라 유니코드 한글 자모(한글 첫가끝 자모)로 조합 가능한 백만 자가 넘는 모든 한글 음절과 고어 문헌에 쓰이는 방점을 지원합니다. 또한 KS X 1001 (구 KS C 5601)와 KS X 1002에 있는 한자는 물론이고, 国, 数 등 널리 쓰이는 속자와 대법원 인명용 한자 대부분 (30 여자 제외) 을 지원합니다. 이밖에 중국, 일본, 대만, 홍콩에서 널리 쓰이는 한자와 그 변형도 모두 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단한 놈들... 무서운 놈들... 한중일 통합 오픈소스 글꼴이라니 구글과 Adobe가 대단한 일을 했다. 특히 는 리스트를 보면 구글의 힘이 느껴진다. 구글: “모든 비용 부담” 그러나 진정 무서운 점은 바로 그들이 가..
-
유무선 ‘공유기’ 취약점을 이용한 파밍PC and Mac 2014. 5. 27. 21:26
한국에서는 유무선 ‘공유기’ 취약점을 이용한 파밍이 유행인 모양이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듯 보인다. 웹서핑시 뜬금없이 금융감독원 팝업창이 뜬다면 악성코드에 감염 되었거나 유무선 공유기 취약점으로 인해 파밍 공격에 노출되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파밍(Pharming) - 이용자가 정상적인 홈페이지(예: 다음, 네이버, 금융기관)로 접속을 시도했으나 해커가 가짜 웹사이트로 연결되도록 유도 공유기 취약점을 이용한 문제이기에 Windows, Mac 모두에서 나타난다. 특히 Mac의 경우 웹서핑시 금융감독원 팝업창이 뜬다면 공유기를 먼저 의심하는 게 좋다. 1. 공유기 초기화 2. 펌웨어 체크 / 사용하는 공유기는 최신버전 펌웨어로 업데이트 3. 보안 설정 4. 조치 후 스마트폰에서는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의 캐시..
-
맥용 VirusTotal 검사도구PC and Mac 2014. 5. 27. 21:11
구글, 맥용 바이러스 검사도구 'VirusTotal' 배포 구글이 맥용 악성코드 검사도구인 VirusTotal를 배포했다고 한다. VirusTotal 서비스는 50개 이상의 백신 소프트웨어 엔진으로 검진이 가능하다. 어떤 보안 소프트웨어도 홀로 100% 악성코드 검진이 가능하지 않은 시대이기에 한번에 여러 백신 엔진으로 검진이 가능하다는 점은 특히 의심파일과 신규악성코드에 대해 참고가 가능하다. 여전히 email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방식이 사용되기에 업무상 첨부 된 email에 의심스러운 파일이 있다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생각이 든다. 윈도우용 악성코드가 Mac에서는 무용지물이지만 Mac을 통해서 PC나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기기로 퍼지지 말라는 법은 없으니 말이다. 물론 Vi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