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Bitdefender Adware Removal Tool for Mac OS XPC and Mac 2014. 5. 17. 12:18
Mac OS X, Windows 모두 무료 유틸리티같은 건 설치시 같이 설치되는 번들소프트웨어를 주의해야 한다. 이런 번들 소프트웨어를 다시 PUA / PUP (potentially unwanted application / potentially unwanted program)로 구분 할 수 있다. 악성코드가 아닌 듯 악성코드 같은 그러나 악성코드는 아닌 그런 거. 이익창출을 위해 광고소프트웨어나 검색툴이 설치되고 웹 브라우저의 기본셋팅을 변경하는데 사용자가 별 생각없이 그냥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즉 사용자 동의하에 설치하게 되는 거라서 보안 소프트웨어의 경우도 정책이 각기 다른데 요즘은 PUA / PUP 진단이 중요하다고 본다. 루마니아의 유명 보안업체 Bitdefender 에서 이번에 Mac OS X..
-
세월호 그리고 대한민국호\(‘ o`)/ 2014. 4. 19. 14:56
맹자가 제선왕더러 “왕의 신하 중에 만일 제 처자를 그의 친구에게 맡기고 초나라로 여행을 떠났다가 다시 돌아와 본즉 그의 처자들을 추위에 얼리고 굶주리게 하여 놓았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그런 자와는 절교할 것입니다.” “옥관이 옥졸들을 통솔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그런 자는 파면입니다.” “나라 구석이 잘 통치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왕은 곁에 있는 사람쪽을 돌아보면서 못 들은 척하고 딴 말을 꺼내었다. - 맹자, 양혜왕(梁惠王) 하 세월호의 모습이 대한민국호의 모습이 아닐까? 삼등 항해사가 운행중이였다던 배. 가장 먼저 배를 떠난 리더의 이야기. 스스로 알아서 살아남아야 하는 신뢰가 붕괴 된 사회. 시스템에 대한 이런 불신이 쌓여 훗날 더 큰 문제가 되겠지. “신뢰가 ..
-
광고 차단 호스트(hosts) 파일PC and Mac 2014. 4. 9. 17:07
■ 광고&기타 차단 Hosts 리스트 Windows XP/7 과 다르게 Windows 8 에서 Windows Defender 를 사용 할 경우 먼저 제외설정을 해주고 편집해야 한다. 윈도우 10도 다르지 않다. hosts 파일 위치: C:\Windows\System32\Drivers\etc * hosts 파일은 확장자가 없는 파일이다. 호스트(hosts) 파일 선택 후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해 나오는 메뉴에서 속성을 선택. 읽기전용(Read-only) 파일이면 변경을 위해 읽기전용 체크를 '해제'. 호스트 파일 변경 후에는 다시 읽기전용으로 만든다. 1. 노트패드(Notepad)를 사용할 경우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해서 메뉴에서 '관리자 모드' (Run as administrator)로 실행한다...
-
물에게 길을 묻다 3 - 사람들My Scrapbook 2014. 4. 8. 15:59
세상에서 가장 큰 즐거움은 사람으로 태어나는 것*이라고 누가 말했었지요 그래서 나는 사람으로 살기로 했지요 날마다 살기 위해 일만 하고 살았지요 일만하고 사는 것이 쉽지는 않았지요 일터는 오래 바람 잘 날 없고 인파는 술렁이며 소용돌이쳤지요 누가 목소리를 높이기라도 하면 소리는 나에게까지 울렸지요 일자리 바뀌고 삶은 또 솟구쳤지요 그때 나는 지하 속 노숙자들을 생각했지요 실직자들을 떠올리로 했지요 그러다 문득 길가의 취객들을 힐끗 보았지요 어둠속에 웅크리고 추위에 떨고 있었지요 누구의 생도 똑같지는 않았지요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건 사람같이 사는 것이었지요 그때서야 어려운 것이 즐거울 수도 있다는 걸 겨우 알았지요 사람으로 산다는 것은 사람같이 산다는 것과 달랐지요 사람으로 살수록 삶은 더 붐볐지요 오늘..
-
윈도우 XP 지원 종료 무료 보호나라 백신 홍보?PC and Mac 2014. 4. 8. 15:36
윈도우 XP에 대한 MS의 기술지원이 4월 8일로 종료된다. MS에서 윈도우 XP 지원을 종료하니 XP의 취약점을 노린 새로운 악성코드를 치료할 보호나라 백신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무료로 제공한다고 홍보하며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는 모습을 보면 한국이 왜 보안문제가 많은지 알 수 있다. 취약점을 해결해주는 백신을 무료로 배포해준다고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윈도우 XP 는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환경에서 윈도우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면 윈도우 7, 윈도우 8.1 등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만이 최선의 방법이고 XP 를 계속 사용하는 건 좀비PC가 될 확률이 높아 자신의 PC가 악용 될 소지가 크다고 홍보하고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윈도우 7, 윈도우 8..
-
토렌트 (Torrent) 악성코드 / 바이러스 ?PC and Mac 2014. 4. 6. 06:14
■ 토렌트(Torrent) 를 사용하면 무조건 악성코드에 감염된다? 과연 그건 사실일까? 많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및 유료/상용 서비스들이 P2P 방식의 전송을 채택하고 있다. 요즘은 P2P 방식이라고 하면 토렌트(Torrent)를 떠올리는 게 이상하지 않을 만큼 토렌트가 대중화 되었는데 P2P 방식의 파일전송은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가용성을 높이기에 유용한 측면이 있다. 토렌트가 악성코드 유포에 근원같이 말하지만 실제로 토렌트는 업다운 전송 원리상 오랜시간 악성코드 유포가 어려운데 사용자 평판이 바로 반영되는 측면이 있어서 사용자간에 커뮤니케이션이 있다면 빠른 시간내에 파일의 무결성과 악성코드 유무 판단이 가능하다. 한국의 경우는 토렌토 보다 여러 웹사이트 (포털, 학원, 학교, 병원, 음식..